Ubuntu는 사용자의 편의성에 초점을 맞춘 Linux 배포판이다.
그러므로 Ubuntu를 사용할 때 Linux와 비슷하게 여겨도 큰 상관이 없다.
(특정 기능에서 타 배포판과(CentOS 등) 명령어가 조금씩 다르긴 하다.)
Jenkins의 설치과정은 아래와 같다.
Step 1. Jenkins 설치를 위해 Repository key 추가
wget -q -O - https://pkg.jenkins.io/debian-stable/jenkins.io.key | sudo apt-key add -
- Debian 패키지에 추가
sudo sh -c 'echo deb http://pkg.jenkins.io/debian-stable binary/ > /etc/apt/sources.list.d/jenkins.list'
- apt 업데이트
sudo apt update
- 젠킨스 설치
sudo apt install jenkins
Step 2. Jenkins 실행하기
sudo systemctl status jenkins
Step 3. 방화벽 열어주기
기본값으로 젠킨스는 8080포트에서 동작하므로 8080포트를 열어줘야한다
sudo ufw allow 8080
만약 방화벽이 비활성 상태라면 아래 명령어들로 허용처리를 하면 활성화된다
sudo ufw allow OpenSSH
sudo ufw enable
적용된 새로운 ufw 규칙을 확인해보자
sudo ufw status
8080포트가 허용된다는걸 확인할 수 있다.
Output
Status: active To Action From -- ------ ---- OpenSSH ALLOW Anywhere 8080 ALLOW Anywhere OpenSSH (v6) ALLOW Anywhere (v6) 8080 (v6) ALLOW Anywhere (v6)
With Jenkins installed and our firewall configured, we can complete the installation stage and dive into Jenkins setup.
Step 4. Jenkins에서 해야하는것들
시작하려면 설정을 몇가지 해줘야하는데 먼저 기본포트로 접속하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나타난다
예) http://your_server_ip_or_domain:8080
암호를 입력해야하는데 암호확인방법은 하단의 명령어로 확인가능하다.(복붙하면된다)
sudo cat /var/lib/jenkins/secrets/initialAdminPassword
그럼 하단의 화면이 나타나는데 플러그인을 직접 지정해서 설치할게 아니면
install suggested plugins를 설치하면 된다.
설치가 완료되면 첫 번째 관리 사용자를 설정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이 단계를 건너뛰고 위에서 사용한 초기 암호를 사용하여 admin으로 계속할 수 있지만 나중에 생성하면 귀찮으니 요기서 만들자.
Jenkins 인스턴스의 기본 URL을 확인하는 인스턴스 구성 페이지가 표시된다.
서버의 도메인 이름 또는 서버의 IP 주소를 확인한다.
저장 후 마침을 누르면 "Jenkins가 준비되었습니다!"라는 확인 페이지가 표시된다.
Start using Jenkins를 클릭해서 Jenkins 대시보드를 들어가보자
이 화면이 보인다면 설치를 성공적으로 한것이다.